Overview AWS에는 여러가지 서비스가 많다. 그중 SNS Simple Notification Service의 SDK를 통해 서버 푸쉬, Notification을 개발했던 내용을 기록하고자한다. AWS SNS는 Apache Kafka랑 뭔가 비슷한느낌이다. 토픽을 등록하고, 토픽을 구독(Subscribe)하고 토픽 구독한 대상에게 publish를 하는 구조이며, publish를 하게 되면 Push Notification이 나간다?라고 표현하겠다. 토픽 또한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하지만 특히 Push Notification에 대한...
[Read More]
스케줄, 배치에 대한 생각
스케줄, 배치에 대한 개념, 사용사례, 정리
Overview
늘 상황에 맞게 써야됨이 베이스로 깔리지만, 일을 할때 스케줄과 배치에 혼용이 비일비재하다. 정의하고 사용하기 나름이지만, 어느 솔루션에선 작업을 스케줄등록한다. 스케줄을 등록한다라고 쓴다.
Context에 맞게 이해하면 되지만, 기준을 잡고 사용을 함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Read More]
Terminal(Console) 단위의 서버 모니터링(CPU,메모리,디스크,네트워크등등)
linux Command 단위의 모니터링
Overview 최근 내부시스템(계정계,기간계,사무계등등 으로 불리우는) 개발 및 운영 오픈을 하였다. 시스템이 생각보단,, 아니면 내가 모르는 부분이 있을꺼 같긴한데, low하게 모니터링을 해야되는 상황이다. 운영중인 시스템 모니터링을 더불어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어꺠넘어 들으며 알게된 커맨드를 통해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웃긴건 이 업무를 하기전엔 scouter, grafana-loki, ArgoCD, prometheus, pinpoint등의 모니터링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니터링을 하였다.(상용모니터링 솔루션을...
[Read More]
SFTP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서버접속
SFTP Java로 사용
Overview 최근 프로그램적으로 서버에서 서버로 접속하여 특정경로에 있는 파일을 읽거나, 지우는 기능을 개발해야 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굳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여러가지 상황에 의해 기능 개발을 하였고 그 과정에서 기록이 필요하여 남긴다. 보통 scp, ssh 등등 같이 linux, unix 상 터미널로도 접속, 파일전송을 할 수 있다. 또한 Java에서도 pure하게 Keyword를 수행할 수...
[Read More]
llama 3.1 8B Install 사용기 - 1
opensource LLM 사용기
Overview
생성형 AI이 화두되고 있는 시점에, Meta(구Facebook)에서 오픈소스로 생성형AI 모델을 공개하였다.(24.7.23)
llama3.1인데 8B, 70B, 405B 등 3가지 모델을 공개하였고, 405B 같은 모델은 상용 생성형 AI 모델과 성능을 견줄정도로 좋은 성능을 내고 있다.
각설하고, llama3.1 중 가장 작은 모델인 8B 설치방법과 간단한 사용방법을 기록한다.
[Read More]